모바일 메뉴 열기
행사
예술/문화

[16/12/21] 서울을 바꾸는 예술 포럼: 문화기획자의 지역생존

일시
2016.12.21 ~ 2016.12.21
장소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서울중앙우체국

웹전단  

사전신청 

 

제1회 서울을 바꾸는 예술 포럼 : 문화기획자의 지역 생존


일시 : 2016년 12월 21일(수) 오후 2:00~6:30

장소 : 서울중앙우체국(포스트타워) 10층 대회의실(중구 소공로 70)

주최 : 서울문화재단

참가신청 및 문의 : 서울문화재단 홈페이지와 공공예술센터 페이스북을 통해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www.sfac.or.kr   www.facebook.com/sfac.guerrilla
전화 02)3290-7140, 7176    팩스 02)6008-7347

 


사전등록자에 한하여 행사장 접수대에서 '에코백'을 선착순 증정합니다.

 

 


-모시는글-

 

서울을 바꾸는 예술 포럼 Arts Change Seoul

예술의 사회적 가치는 혁신, 지역, 마을, 청년, 도시재생 등 다양한 단어와 결합하며 정책적으로 강조되어 왔습니다. 한편, 예술과 사회, 마을, 청년 등을 구분하지 않고, 예술가·기획자인 ‘나’의 활동으로 만들어온 현장의 노력은 계속 진행 중입니다. 올해 처음 시작하는 <서울을 바꾸는 예술 포럼>은 예술과 서 울이 마주하는 새로운 시도들, 특히 ‘현장의 고민’을 중심으로 보여주고자 합니다.

 

문화기획자의 지역 생존

문화기본법·지역문화진흥법 제정, 지역문화재단 설립, 문화지구·도시 지정, 문화적 지역재생, 전문인력 양성 등 지역문화정책은 폭발적으로 성장 중입니다. 그러나 아직 '지역'문화는 '지방'문화 발전, 지역 균등 정도로 여겨집니다. 하지만, 서울이야말로 민간의 지역문화활동이 가장 활발한 현장입니다. 서울의 풍요로운 예술 역량은 고립된 거대 공연장, 미술관, 도서관에만 머물지 않고, 지역으로 파고들었습니다. 새로운 욕망과 상황을 마주한, 지역문화기획자라는 새로운 주체의 출현에, 서울의 색과 온도는 조금씩 변해갑니다. 메트로폴리스이자 마을이기도 한 복잡한 이 도시에서는, 그만큼 다양한 지역 활동이 가능합니다. 이번 포럼에서는 그 다양성을 청년, 상업, 마을, 도시공간, 4개 키워드로 묶어봤습니다. 열두 팀이 '지역에서 살아남는', 또 '지역을 바꾸는' 생생한 모습과 그들의 진짜 고민에 귀 기울여 주시면 좋겠습니다.

 

 


-포럼일정-

 

등록 및 접수 오후 1:30 – 2:00

개회 인사말 주철환 (서울문화재단 대표이사)

 

 

세션 1 오후 2:10 – 3:10 청년

발문 심한기 (청소년문화공동체 대표)
발표자 오창민 <정릉> 협동조합 성북신나 |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신나
발표자 박도빈 <수유> 문화예술커뮤니티 동네형들 | 내년에도 문 닫지 않고 잘 버티겠습니다
발표자 장서영 <신림> 문화예술혁명단체 (작은 따옴표) |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선한 혁명을 일으킬 것이다

 

세션 2 오후 3:10 – 4:10 상업

발문 이선철 (감자꽃스튜디오 대표)
발표자 설재우 <서촌> (옥인오락실 등) | 주민에서 주인으로
발표자 김연석 <용산> 청년장사꾼(열정도) | 지역 생존법
발표자 황윤호 <이태원> 9Road | 하나의 삶, 여러 개의 길, 수많은 인연

 

휴식 오후 4:10 – 4:30

 

세션 3 오후 4:30 – 5:30 마을

발문 라도삼 (서울연구원 연구위원)
발표자 신현길 <창신> 아트브릿지(뭐든지예술학교) | 창신동에서 세상을 꿈꾸다
발표자 김지영 <목동> 플러스마이너스1도씨(모기동문화발전소) | 지역을 향한 예술 & 나를 위한 예술
발표자 정현식 <수색> 예술수색단 | 예술, 마을 관계맺기

 

세션 4 오후 5:30 – 6:30 도시공간

발문 조광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부연구위원)
발표자 홍성재 <창신> 공공공간 | 낭비 없는 도시를 위한 ‘Zero – Design’
발표자 김현승 <동대문> 옥상낙원DRP | 도시의 빈곳, 빈곳에 상상력
발표자 서상혁 <아현> 축제행성(행화탕) | 예술로 목욕합니다

 

폐회 오후 6:30



세션별 진행시간 : 발문 5분, 발표 45분(3팀), 질의응답 10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