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메뉴 열기
행사
시민참여

[17/01/01~17/12/31]2017 공유도시 서울 시민공동연구 프로젝트 | 전체 워크숍 주제를 공개합니다

일시
2017.01.01 ~ 2017.12.31

2017 공유도시 서울 시민공동연구 프로젝트

도시의 자유와 시민의 자립을 위한 공유도시

 

서울혁신센터 사회혁신리서치랩은 은평공유센터와 함께 《2017 공유도시 서울 시민공동연구 프로젝트》를 2017년 4월부터 진행합니다. 현대 도시가 직면한 다양한 도전과 문제의 새로운 해결 방법으로 부상하고 있는 공유도시를 도시서울의 관점에서 동료시민들과 함께 연구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이번 시민공동연구프로젝트는 8번의 워크숍으로 진행되고, 12월에는 8번의 워크숍 결과를 종합 정리한 〈공유도시 서울 : 시민공동연구보고서〉를 발표합니다. 4월부터 진행되는 각 워크숍이 끝난 이후에는 매월 1차 보고서가 발행됩니다. 관심 있는 동료시민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〇 진행 및 참여 방법 : 워크숍은 오픈스페이스(Open Space)의 방법이나 원탁토론의 방법으로 진행됩니다. 오픈 스페이스 워크숍은 1부와 2부로 진행합니다. 1부에선 참석자들이 제기한 질문과 주제를 종합하고, 각자 자신이 선택한 주제의 모둠토론에 참여합니다. 참석자는 모둠토론을 오가며 여러 개의 모둠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2부에선 전체토론을 진행합니다. 함께 토론하고 싶은 동료시민은 발표를 미리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당일 날 토론 주제를 신청하셔도 됩니다. 원탁토론으로 진행할 경우, 발표자뿐만 아니라 모든 참석자에게 토론자의 권한을 부여합니다.

 

Part1 공유란 무엇인가?


 

4월 [제1주제] ‘공유’란 무엇인가?

: 나에게 ‘공유’란 무엇인가? 혹은 공유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우리는 다양한 방식으로 공유라는 개념을 쓰고 있습니다. 공유라는 단어가 수식하는 말들도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공유경제서부터 정보 공유, 공유 냉장고, 공유 장난감, 공유 공구 등까지 범위도 매우 넓습니다. 그러나 공유라는 개념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렌탈과 공유는 어떻게 다른지? 협력적 소비와 공유는 같은 것인지? 중고물품 교환과 공유는 정말 다른 것인지? 동료시민들이 공유를 이해하는 다양한 방식 혹은 공유에 접근하는 다양한 방법을 들어보고, 함께 토론합니다.

 

5월 [제2주제] ‘공유도시’란 무엇인가?

공유도시(Sharing City)란 무엇일까요? 왜 공유도시의 개념이 등장했고, 이 개념을 통해서 우리가 사유하고 실천하고자 하는 바는 무엇일까요? 외국의 공유도시에선 무엇을 하고 있을까요? 공유도시는 정말 좋은 걸까요? 공유도시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을 만납니다.

 

Part2 공유도시 현황과 진단


 

6월 [제3주제] 공유도시 서울 체험 워크숍 : 계획과 현실

공유도시를 선언한 서울에서 실제 진행되는 공유 모델을 직접 체험하는 워크숍입니다. 무엇이, 어떻게, 누구와 공유되고 있는가를 직접 현장을 방문하고, 함께 체험합니다. 따릉이를 타보기도 하고, 공유자동차를 타고 다음 장소로 이동도 합니다. 공간을 공유하는 곳에 직접 가보기도 하고, 공구도서관은 어떤지 현장도 방문합니다. 어디를, 어떻게 가야할 까요? 체험 이후에는 함께 모여 공유도시 서울의 현황을 함께 진단하는 이야기 시간을 갖습니다.

 

Part3 공유도시 만들기 워크숍 : 마을에서 도시까지


 

7월 [제4주제] 공유와 마을 : 공유공동체 만들기

공유로 만들어가는 마을은 어떤 모습일까요? 공유주방을 만들고, 공유냉장고도 넣고, 함께 하는 식사자리도 만들어볼까요? 옷은 어떻게 공유할 수 있을까요? 세탁은 어떨까? 함께 일하는 마을코워킹 스페이스는 어떤가요? 공유의 방법으로 마을공동체를 만들어가고 있는 분들, 그리고 그런 계획을 갖고 있는 분들과 함께 모여, 공유공동체로 마을을 만들어가는 방법을 상상합니다.

 

8월 [제5주제] 공유와 공공성 : 공공성의 혁신을 위한 공유 상상

공공하부구조가 허약한 도시서울에서 공유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공유가 공공성을 허약하게 만들지는 않을까요? 반대로 공유를 통해 도시서울의 공공성을 보다 확장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혹은 권리와 공유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9월 [제6주제] 공유와 도시 : 공유도시 무한상상 워크숍

우리가 만들고 싶은 공유도시는 어떤 모습일까요? 공유도시를 만들어가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공유도시를 만들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서울을 진정한 공유도시로 만들 수 있는 모든 상상을 만나는 워크숍입니다.

 

10월 [제7주제] 공유도시 지속가능성을 위한 환경/가능조건(enabling condition)

: 제도와 정책 중심으로

공유도시라는 전망이 구체화되고, 현실화되기 위해 필요한 환경은 무엇일까요? 어떻게 하면 보다 많은 공유실험을 만들어낼 수 있을까요? 동료시민들의 다양한 실험이 확산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실험에서 멈추지 않고, 실험이 도시 그 자체를 변화시키는 동력으로 발전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Part4 공유도시와 시민


 

11월 [제8주제] 우리 시민에게 공유도시란 무엇인가?

공유도시를 통해 문제를 풀어간다는 우리의 상상은 나뿐만 아니라 우리 모두에게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을까요? 공유도시라는 전망은 동료시민의 역량을 강화하고, 우리의 도시민주주의를 보다 발전시킬 수 있을까요? 문제 해결의 측면과 민주주의의 측면이란 양 관점에서 공유도시 프로젝트를 함께 돌아보는 시간을 갖습니다.

 


 

12월 종합 워크숍 :

[2017 공유도시 서울 : 시민공동연구보고서 발간 워크숍]

 

일년 동안 진행된 워크숍의 결과를 정리하고, 이를 발표하는 워크숍입니다. 워크숍에 참여했던 모든 시민들의 이름으로 보고서를 발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