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
지난 6월 30일, 서울시 교육청과 (사)징검다리 교육공동체는 '알파고 시대의 학교교육'이라는 주제로 토론 심포지움을 열었습니다. 전현직 교육감을 비롯하여 교사, 학부모, 컨설턴트 등 여러 주체들이 참석한 가운데, "인공지능 격차, 디지털 공유지식자산, OER (Open Educational Resources; 교육 자원 공유 ), 그리고 창의성 교육의 현주소와 한계, 디지털 시민 역량 등 다양한 주제가 논의"되었습니다. 발제자는 '기술격차'가 국가 간의 경쟁과 국가 내의 소득분배질서와 같은 부분을 좌우한다고 이야기하는데요. 특히, 인공지능 격차의 경우 데이터의 축적되는 양에 따라 기술의 진화가 더 현저하게 발생하는데, 한국에서는 아직까지 인공지능과 관련된 기술이 제대로 정립되지 않음을 문제로 보고 있습니다. 더불어 지식의 격차 역시 심화되고 있음을 지적하는데요. 이와 같은 교육의 격차들은 시간이 지날 수록 확대될 것이고, 우리는 이 지점에 대한 진지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보였습니다. 발제 이후, 전체 패널 토론을 거치면서 '창의성', '교육과 노동' 등에 대한 패널들의 의견들도 엿볼 수 있었는데요. 찬찬히 읽어보시면 좋겠습니다 🙂
► 전체 기사 보기: http://slownews.kr/56474
연관 행사
- 제목2017 사회혁신리서치랩 해외현장 조사2017.11.13
- 제목[사회혁신의 시선] 11호 : 2017년 국내외 사회혁신 교육 현황 조사 및 동향분석2017.08.23
- 제목[16/08/25] “흥미 따라 반 나누고 교실 없는 대학까지, 눈여겨봐야 할 글로벌 에듀테크 성공사례”2016.08.25
- 제목[16/08/08] 서울형 제작교육 대안모델을 향해 | 좋은 삶을 위한 자립전략으로서의 메이커 교육2016.08.16
- 제목[16/07/22] “ ‘무크’ 변화속도 심상찮다”2016.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