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
스웨덴 항구도시로 세계 최고의 조선업체인 코쿰스 본사가 있던 말뫼. 하지만 한국의 조선업에 밀리기 시작하면서 결국 코쿰스의 크레인은 1달러에 현대중공업에 팔렸다고 합니다. 이후, 조선업 붕괴로 인해 3만명의 노동자들이 떠나게 되었고, '유령도시'와 다를 것이 없었다고 하는데요. 그러나, 말뫼시는 90년대 중반부터 제조업이 위기를 맞음을 인식하고 도시경쟁력 향상을 위한 도시계획을 진행중이었습니다. 말뫼시는 기업 경영진, 노조, 지방정부 협의체를 구성하여 이들의 성장동력을 바로 '친환경과 첨단기술 지식기반 산업'으로 합의했습니다. 과거 조선업의 상징인 코쿰스의 공장을 스타트업을 위한 창조적 공간으로 바꾸고, 덴마크의 코펜하겐과 스웨덴 말뫼를 연결하여 단일경제권을 형성하고 신재생에너지와 정보기술 등 신사업에 투자했습니다. 또한, 100% 신재생에너지를 공급하는 'City of Tomorrow'라는 도시재생 프로젝트를 계획하여, '스웨덴 최초의 환경친화지구'로 설정되었는데요. 말뫼시의 친환경과 신사업을 위한 시도는 강력한 성장동력이 되어 조선업이 활황일 때보다도 40만명이 더 증가했고, 인구 절반이 35세 미만인 젊은 도시가 되었습니다. 유엔환경계획에서는 말뫼를 '세계에서 가장 살기좋은 도시'로 선정하기도 했습니다.
말뫼시는 지속가능한 도시를 위해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는데요.
첫번째, 자동차 대신 자전거를 도시의 기본요소로 정하고, 더불어 에코텀블러를 권장하는 식수대의 설치와 동물들을 배려하는 설계를 지정했습니다. 두번째, 주민들이 원하는 주거지에 살 수 있도록 주택가격을 다양화했고, 주거환경 개선에 힘쓰고 있습니다. 세번째는 에너지 절약건축물을 지을 것을 강력히 명시함에 따라 친환경 도시를 향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2030년까지 말뫼시는 도심팽창 억제와 "탄소제로 도시"를 목표로 하고 있는데요. 이러한 말뫼시의 사례는 현재 우리나라의 조선업 쇠퇴로 문제를 겪는 항구도시들에게도 많은 시사점을 던집니다.
► 전체 기사 보기: http://froma.co.kr/120
연관 행사
- 제목주민 모두가 주인인 장소를 위하여2017.11.10
- 제목부산의 ‘해운대기찻길 친구들’2017.10.19
- 제목‘절제’와 ‘방치’로 동해남부선 폐선부지를 바라보다2017.10.19
- 제목서울 26번째 자치구의 의미 | 도시난민과 도시정의2017.06.13
- 제목[16/09/19] 자전거로 새로운 공간을 상상하다2016.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