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
지난달 29일 주택산업연구원은 ‘청년가구의 주거소비 특성’이라는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이 보고서에서는 연령과 혼인 여부를 구분하여 주거 소비 상황을 파악하고 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청년가구는 “주거면적, 점유형태, 주거비 부담 측면에서 살펴본 결과 장년가구에 비해 주거수준이 나빠지고 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청년가구에 대한 합의된 정의를 통해 각 정책들의 연계성을 강화시키고, 청년가구의 분포특성 파악을 통한 지자체별 특화된 정책을 펼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또한, 청년의 주거 안정을 위한 정책이 보다 더 확대되어야 하며 특히, 미혼 청년가구가 안정적인 주거소비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보고서는 이처럼 청년가구의 주거소비 상황이 나빠지는 것은 최근 청년실업률 증가와 소득증가의 정체, 월세화 진행에 따른 주거비 부담 증가 등에서 비롯된 것으로 판단했다.
이런 문제는 장기적으로 청년가구의 주택자금 마련을 어렵게 해 혼인 시기가 늦어져 기혼 청년가구가 감소하는 사회문제로 연결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 기사 원문 보기: http://www.businessplus.kr/news/articleView.html?idxno=8955
► 주택산업연구원의 보고서 바로보기: http://www.khi.re.kr/notice/notice3.php?boardid=pds&mode=view&idx=91&sk=&sw=&offset=
연관 행사
- 제목[16/09/07] 서울시 빈집 1만5000채 ‘사상 최대’, 빈집정보센터로 리모델링시행자-입주 희망자 연결2016.09.07
- 제목[16/08/02] “초고령사회 일본의 ‘똑똑한’ 빈집 처리”2016.08.02
- 제목[16/07/19] 젠트리피케이션, 가치의 충돌과 시민의 정체성2016.07.19
- 제목다목적 사회혁신, ‘세대간 주거공유’의 현재와 전망2016.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