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
한 기업에서는 매년 발생하는 의류재고를 소각하기 위해 연간 수십억 원의 비용이 들었는데요. 뿐만 아니라 발생하는 환경파괴문제도 간과할 수 없었던 이들은 업사이클링 브랜드를 만들었습니다. 바로 코오롱 인더스트리의 '래;코드(RE;CODE)'인데요. '래;코드'의 의미는 '잊히고 사라지게 될 대상이나 한 시대의 문화(CODE)가 계속 순환한다(RE;)'고 합니다. 코오롱은 자체로 많은 브랜드들이 존재하고, 덕분에 다양한 소재를 가지고 제품을 만들 수 있는 것이 장점인데요. 일반적인 업사이클링 사회적기업들이 재료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것과 조금은 다르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이들은 '소각을 결코 없다'라는 생각 아래 '래;코드'의 재고 제품은 '패션 트레이드 쇼'에서 판매를 하거나 바자회 또는 미혼모 단체 등 필요로 하는 곳에 기부를 한다고 합니다. 이외에도 봉제 기술을 배우고자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봉제수업을 열 생각이나 업사이클링 패션 학교를 세우는 꿈도 가지고 있습니다.
► 전체 기사 보기: http://story.visualdive.co.kr/2015/06/magazine-recode/
연관 행사
- 제목[16/10/17] 리/업사이클링 시장과 인간적 상처들2016.10.24
- 제목[16/07/12] 빗물마을, 들어보셨나요?2016.07.12
- 제목“식량·에너지 자급, 21세기 유토피아촌 만든다”2016.07.06
- 제목쓰레기를 배출하지 않는 일본의 작은 마을 이야기2016.06.30